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시인 - 김파
2015년 03월 08일 21시 10분  조회:4758  추천:0  작성자: 죽림
돌에 새겨진 《돌의 음악》 문화향기 물씬
      2014년 4월 2일           

 

김파시인의 시비제막식 두만강변서

4월 1일 오전, 김파시인의 《돌의 음악》시비 제막식이 두만강변에서 있었다.

아름다운 문화관광도시인 도문시에 2009년에 설립된 정몽호시비에 이어 또 하나의 시비가 세워졌다. 화강암기초돌에 받쳐진 높이 2.6메터, 너비 1.2메터에 두께가 0.5메터인 유백색 대리석시비에는 김파시인의 《돌의 음악》이 조한문으로 정히 새겨졌다.

《돌을 두드리면/ 소리가 난다/ 돌은 부서진 소리가/ 뭉쳐진 덩어리다//바이올린 선률도/ 피아노의 절주도/돌의 부서진 소리를 체로 쳐/ 빚어서 발효시킨 술/ 마시면/ 취한다.》 시비 정면에 새겨진 《돌의 음악》의 전문이다.

일찍 《흰돛》, 《대륙에 묻혀있는 섬》, 《겨울나비》, 《태양의 종소리》등 7권의 서정시집과 《사랑의 별》(서정서사시집), 《천추의 충혼 안중근》(서사시), 《천년고국 고구려》(력사대하시), 《립체시론》(시론집) 등 25부의 작품집을 펴낸 김파시인의 《돌의 음악》시비제막식이 4월 1일 오전 도문시 두만강광장의 두만강가에서 있었다.

1942년 흑룡강성 해림현에서 출생한 김파시인은 도문시 2중과 4중에서 교원으로 있다가 도문시문화국창평실성원으로 근무, 퇴직후 대련에서 활발한 창작활동을 하고있다. 중국소수민족작가협회와 연변작가협회 회원인 김파시인은 시창작외에도 장편소설, 장막가극 등 기타 쟝르의 작품도 많이 창작하였으며 작고한 김성휘시인과 정몽호시인 등과 함께 조선족시단의 시인들의 모임인 《두만강여울소리》를 발기하기도 하였다.

제막식에서 평론가 최삼룡의 《김파의 시비를 세워야 하는 리유》가 대독되였고 최룡관시인, 김룡운평론가, 윤청남시인 등이 축사를 했다. 최룡관시인은 축사에서 지난 2009년에 세워진 정몽호시비와 더불어 두만강가에서 짙은 문화향기를 풍기게 될 김파시인의 《돌의 노래》시비설립에 대폭적인 지지를 준 도문시당위와 정부에 거듭 감사를 드리고 수십년간의 창작생애에서 거둔 김파시인의 성과를 높이 긍정하였다.

답사를 하고있는 김파시인.

김파시인은 답사에서 시비를 세워준 동북아문화연구원과 도문시당위와 정부에 감사를 드리고 《인류는 삶과 사회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물질재부창조와 정신재부창조 두가지를 병견하는데 정신재부의 한개 장르인 문학, 그 가운데서도 시는 생명력이 강한 우월한 정신재부에 속하며 시비는 한 시인의 령혼의 상징으로 빛뿌리게 될것》이라고 하면서 앞으로 민족과 나라, 나아가서는 인류를 위해, 보다 좋은 령혼의 보석을 남기기 위해 여생의 마지막 날숨까지 연소할것을 다졌다.

연변동북아문화연구원(원장 최룡관)의 주최로 개최된 이날 제막식에는 도문시당위선전부의 해당 책임자와 연변시인협회 김응준회장, 연변시조사 김철학회장 등과 동북아문화연구원의 부분적인 회원들 그리고 도문시문련, 도문시문화관, 도문시작가협회 회원 등 20여명이 참가하였다.

길림신문 김태국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523 현대시 작법 2015-05-20 0 6187
522 시를 쉽게 쓰는 요령...하지만 쉽지만 않은 요령 2015-05-20 0 4818
521 기호 언어를 통한 동시 쓰기 2015-05-20 0 5910
520 무엇을 쓸려면 진정 뼈속까지 내려가서 써라 2015-05-20 0 5284
519 동시조 창작에서 도움되는 동시조 례문 모음 2015-05-20 0 5040
518 동시조, 그 아름다운 이름으로 일어나라 2015-05-20 0 4410
517 동시조를 잘 쓰려면 2015-05-20 0 5527
516 <사랑법> 시모음 2015-05-19 1 4255
515 현대시 이렇게 쓰자 2015-05-18 0 4984
514 詩佛 - 王維 2015-05-18 0 4491
513 李箱을 다시 떠올리다 2015-05-17 0 6685
512 산문은 환유적으로... 시는 은유적으로... 2015-05-17 0 4567
511 현대시와 현대시조에 관하여 2015-05-17 0 4444
510 시와 시인 명언 32 2015-05-16 0 5712
509 屎屎的 詩 2015-05-16 0 4526
508 <스승의 날> 시모음 2015-05-15 0 4709
507 황지우 시모음 2015-05-15 0 6042
506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시인... 2015-05-15 0 4386
505 윤동주 시와 독후감 쓰기 2015-05-15 0 6454
504 방랑풍류시인 - 김삿갓 2015-05-15 1 6027
503 요절한 시인 - 기형도, 그의 주옥같은 시는 우리 손에 고이고이 들려 있을것이다... 2015-05-15 0 4380
502 김삿갓과 詩 2015-05-15 0 4752
501 소설쓰기 = 감농군 되라, 시쓰기 = 보석세공자 되라 2015-05-13 0 5414
500 시쓰기 요령 2015-05-13 1 4112
499 시쓰기가 어렵다고 생각하지 말아ㅠ... 2015-05-13 0 4793
498 동시 짓기 2015-05-13 0 5048
497 시쓰기는 처음이자 마지막 2015-05-13 0 5102
496 잘못된 시쓰기 류형 2015-05-13 0 4384
495 시쓰기 네가지 류형 2015-05-13 0 4515
494 시쓰기와 정신 치유법 2015-05-12 0 4846
493 詩의 첫줄은 神이 주는것... 2015-05-12 0 4471
492 시쓰기와 기타... 2015-05-12 0 4750
491 시쓰기 즐거움 2015-05-12 0 5112
490 좋은 시를 쓰기 위한 방법 2015-05-12 0 5158
489 시쓰기 넋두리 2015-05-12 0 5068
488 五感의 詩쓰기 2015-05-12 0 4608
487 시를 잘 쓰기 위한 10가지 방법 2015-05-12 0 4545
486 좋은 시를 쓰려면 2015-05-12 0 4728
485 시는 쉽게 쓰여지지 않는다... 2015-05-12 0 4952
484 <개미> 시모음 2015-05-10 0 4805
‹처음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