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名詩 공화국

4월 시 모음 ㄹ
2015년 02월 19일 01시 44분  조회:2778  추천:0  작성자: 죽림

+ 3월에서 4월 사이

산서고등학교 관사 앞에 매화꽃 핀 다음에는
산서주조장 돌담에 기대어 산수유꽃 피고
산서중학교 뒷산에 조팝나무꽃 핀 다음에는
산서우체국 뒤뜰에서는 목련꽃 피고 
산서초등학교 울타리 너머 개나리꽃 핀 다음에는
산서정류소 가는 길가에 자주 제비꽃 피고
(안도현·시인, 1961-)


+ 4월이 오면 

4월이 오면
마른 들판을
파랗게 색칠하는 보리처럼
나도 좀 달라져야지.

솜사탕처럼 벙그는
살구꽃같이
나도 좀 꿈에 젖어
부풀어 봐야지.

봄비 내린 뒷날
개울을 마구 달리는
힘찬 개울물처럼
나도 좀 앞을 향해 달려 봐야지.

오, 4월이 오면
좀 산뜻해져야지.
참나무 가지에 새로 돋는 속잎같이.
(권영상·시인, 1953-)


+ 4월

봄은
민들레 노란 꽃신을 신었어요.

부리에 봄을 물고
노랑턱멧새도 와 있었어요.

나비는
젖은 날개를 말리느라 
햇볕을 쬐고 있어요.

제비는
꽃잎 같은 새끼 주둥이에
벌레 넣어 주기에 바쁘답니다.
(오순택·아동문학가, 1942-)


+ 사월 

도대체 이 환한 날에 
누가 오시는 걸까 

진달래가 저리도 
고운 치장을 하고 

개나리가 저리도 
노란 종을 울려대고 

벚나무가 저리도 높이 
축포를 터뜨리고 

목련이 저리도 환하게 
등불을 받쳐들고 섰다니 

어느 신랑이 오시기에 
저리도 야단들일까? 
(임보·시인, 1940-)


+ 4월 

벚나무 바라보다 
뜨거워라 
흐드러진 꽃잎에 
눈을 다친다 
저 여린 향기로도 
독한 겨울을 견뎠는데 
까짓 그리움 하나 
삼키지 못할까 
봄비 내려 
싸늘하게 식은 체온 
비벼대던 꽃잎 
하르르 떨구어져도 
무한대로 흐르는 꽃소식 
으슬으슬 열 감기가 
가지마다 열꽃을 피워댄다
(목필균·시인)


+ 맑은 꽃 

눈물보다 더 맑은 꽃이 있을까 
4월은 꽃이 많은 계절 
4월은 눈물이 많은 계절 
맑은 꽃 속의 샘물에 뜨는 별 
예사로이 보면 안 보이는 별 
별이 안 보이는 눈에는 
눈물이 없지 
사람들은 꽃만 보고 
눈물은 보지 않는다 
사람들은 샘물만 보고 
별은 보지 않는다 
광장에는 꽃의 분수 
4월의 눈물이 솟는데 
(김여정·시인, 1933-) 


+ 초록의 4월

푸른 숨결이네 
스스로 이는 참회의 바람이네 
어린 손의 손짓이네 

어린 손들이 하늘을 떠받치며 
환호하는 감사, 
겨울 내내 눈물로 퍼 올린 
모세혈관의 힘겨움을 참아내 
저곳들을 싹틔웠을 
어머니에게 바치네 

하늘의 계시를 기다리고 있는 
옹골찬 초록의 세상을 만드네. 
(김상현·시인, 1947-)


+ 4월이면 바람나고 싶다 

거리엔 꽃을 든 여인들 분주하고
살아 있는 것들 모두 살아 있으니
말좀 걸어 달라고 종알대고
마음속으론 황사바람만 몰려오는데
4월이면 바람나고 싶다
바람이 나도 단단히 나서
마침내 바람이 되고 싶다
바람이 되어도 거센 바람이 되어서
모래와 먼지들을 데리고 멀리 가서
내가 알지 못하는 어느 나라
어느 하늘 한쪽을
자욱히 물들이고 싶다
일렁이고 싶다 
(정해종·시인, 1965-) 


+ 4월의 노래 

4월. 그대는 천진한 아이처럼
장난스러운 언어로 
행복한 웃음을 만드는 
더듬이를 달고
추억을 찾아가는 즐거움으로 시작되었다.

그대는 새로움을 창조한
희망의 초록빛 여린 싹을 잉태하고
꽃피는 날
아름다운 색채로 수채화를 그리는
들녘에 푸릇한 새날의 축복을 낳아
꽃들의 향연이 열리는 푸른 초장으로 
안내하는 초대장을 보내 주었다.

꽃의 향기는 조용히 와서
재잘거리며 수다를 떨다가
행복한 미소로 덮어놓고
우리네 삶에 새 생명을 주는
4월. 그대는 희망을 부르는 아름다운 노래다.
(안성란·시인) 


+ 4월은 갈아엎는 달

내 고향은 
강 언덕에 있었다.
해마다 봄이 오면 
피어나는 가난.

지금도 
흰 물 내려다보이는 언덕
무너진 토방가선 
시퍼런 풀줄기 우그려 넣고 있을
아, 죄 없이 눈만 큰 어린것들.

미치고 싶었다. 
4월이 오면
산천은 껍질을 찢고 
속잎은 돋아나는데,
4월이 오면 
내 가슴에도 속잎은 돋아나고 있는데,
우리네 조국에도 
어느 머언 심저, 분명
새로운 속잎은 돋아오고 있는데,

미치고 싶었다. 
4월이 오면
곰나루서 피 터진 동학의 함성.
광화문서 목 터진 4월의 승리여.

강산을 덮어, 화창한 
진달래는 피어나는데,
출렁이는 네 가슴만 남겨놓고, 갈아엎었으면
이 균스러운 부패와 향락의 불야성 갈아엎었으면
갈아엎은 한강연안에다 
보리를 뿌리면
비단처럼 물결칠, 아 푸른 보리밭.

강산을 덮어 화창한 진달래는 피어나는데
그날이 오기까지는, 4월은 갈아엎는 달.
그날이 오기까지는, 4월은 일어서는 달.
(신동엽·시인, 1930-1969)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464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344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以後 시: 박남수 - 새 2015-12-18 0 3468
343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以後 시: 김현승 - 가을의 기도 2015-12-17 0 4076
342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以後 시: 김춘수 - 꽃을 위한 序詩 2015-12-17 0 4425
341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以後 시: 김수영 - 풀 2015-12-16 0 6737
340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以後 시: "휴전선 시인" - 박봉우 - 휴전선 2015-12-15 0 3589
339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以後 시: 구상 - 초토(焦土)의 시 8 2015-12-15 0 4121
338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以後 시: "문둥이" - 보리피리 시인 한하운 - 보리피리 2015-12-15 0 4592
337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以後 시: 李壽福 - 봄비 2015-12-15 0 2843
336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이전 시: 박인환 - 목마와 숙녀 2015-12-15 0 4475
335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以後 시: 서정주 - 국화옆에서 2015-12-14 0 4417
334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以後 시: 박두진 - 靑山道 2015-12-14 0 2892
333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이전 시: 함형수 - 해바라기 碑銘(비명) 2015-12-14 0 2644
332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이전 시: 윤동주 - 서시 2015-12-14 0 3127
331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이전 시: 李陸史(264) - 청포도 2015-12-14 0 5368
330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이전 시: 심훈 - 그날이 오면 2015-12-12 0 3577
329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이전 시: 박목월 - 청노루 2015-12-12 0 4776
328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이전 시: 조지훈 - 승무(僧舞) 2015-12-12 0 5337
327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이전 시: 김기림 - 바다와 나비 2015-12-11 0 3512
326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이전 시: 오장환 - 고향 앞에서 2015-12-11 0 5028
325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이전 시: 류치환 - 깃발 2015-12-11 1 2658
324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이전 시: 이용악 - 전라도 가시내 2015-12-11 1 4326
323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이전 시: 김영랑 - 모란이 피기까지는 / 내 마음을 아실 이 2015-12-11 0 4313
322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이전 시: 김광균 - 外人村 2015-12-11 0 3064
321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이전 시: 李箱 - 오감도 / 거울 2015-12-11 1 5492
320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이전 시: 신석정 - 그 먼 나라를 알으십니까 2015-12-11 0 3155
319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이전 시: 백석 - 고향 2015-12-11 0 4626
318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이전 시: 정지용 - 향수 2015-12-10 0 3799
317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이전 시: 한용운 - 님의 침묵 2015-12-10 0 3208
316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이전 시: 리상화 -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2015-12-10 0 2978
315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이전 시: 김동환 - 국경의 밤 2015-12-10 0 2615
314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이전 시: 김소월 - 가는 길 / 진달래꽃 2015-12-10 0 4722
313 소식 前后적벽부 2015-10-13 0 2979
312 70년대 김지하 시 <<五賊>> 2015-10-08 0 2501
311 李陸史 청포도 2015-09-16 0 4112
310 영국 명시인 - 테드 휴즈 2015-08-03 0 2979
309 향수 原本 詩 2015-07-31 0 2322
308 녀류시인 - 김남조 시모음 2015-07-23 0 4385
307 가나다라 순으로 된 시인 클릭해 보기 2015-07-21 0 3994
306 일본 천재시인 - 테라야마 슈우시 2015-07-18 0 3952
305 명시인 - 주요한 2015-07-17 1 4179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