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계속 6
2015년 02월 18일 18시 53분  조회:4239  추천:0  작성자: 죽림

5. 나가는 글-디지털 시의 미래

 

 

이제까지 “21세기 현대시의 길 열기”라는 주제의 중심에 “디지털 시”를 세우는 작업을 하였다. 21세기의 의사소통 방식은 디지털 형식으로 바뀌었고, 디지털 문화를 향유하는 세대가 시대의 핵심동력(核心動力)이 되고 있다. 그래서 21세기 현대시의 방향을 디지털 시대의 문화감각에 맞추어 탐구하는 것은 시대적 당위성을 갖는다.

1930년대 이상(李箱)의 시는 디지털 시의 근원을 제시해주고 있다. 그리고 1950년대의 조향의 초현실주의 시와 문덕수의 탈-관념의 사물성의 시도 디지털 시의 존재성의 근거가 되기에 충분하다. 그것은 그 시들의 감각과 시에 대한 인식의 근본이 현대 컴퓨터의 디지털 특성과 깊은 연관성을 맺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글의 핵심부분 <가. 디지털 시의 개념과 근거>, <나, 디지털 시의 표현 방법>, <다. 디지털 시의 조건>은 순수한 독창적 것이 아니고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의 산물이다. 다시 말하면 이 글은 디지털 시와 연관된 재료들을 발굴하고 새로운 시각으로 조합하여 구성한 21세기 디지털 시의 설계도인 것이다.

<나. 디지털 시의 표현 방법>과 <다. 디지털 시의 조건>은 미래지향의 시창작방법론이다. 예시 작품들은 디지털 시의 구체적인 방법론을 증명하는 근거가 된다. 따라서 작품의 완성도 보다는 실험적인 방법론에 더 비중을 두었다. 예술에서 완성이란 신기루(蜃氣樓) 같은 꿈이기 때문이다. “디지털 시”는 디지털의 특성을 시로 환원하여 21세기적인 새로운 시의 표현방법을 모색하는 시 운동이다. 현재 이 시운동은 출발선상(出發線上)에 서 있다. 그래서 이 작은 디지털 시 운동이 한국을 넘어서 세계화가 될 날을 기대해 보는 것은 지나친 자만(自慢)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것은 결코 불가능한 일이 아니다. 이 시론은 21세기적인 감각과 의식이 생동하는 젊은 시를 지향하기 때문이다.

 

 

<참고 자료>

 

1, ...
2, ...

3. 『컴퓨터 및 정보통신 용어 사전』

4. 문덕수 저 『문덕수 시전집』시문학사(2006,3,20)

5. 『한국 전후 문제 시집』신구문화사(1961,10,5)

416쪽 「데뻬이즈망」의 미학」-조향(趙鄕)

6. 문덕수 저 『니힐리즘을 넘어서』시문학사(2003,5,30)

183쪽~195 쪽 <이상론>

7. 임종국 편 『이상전집』문성사 (1968,9,15)405쪽

8. 오남구 저『이상의 디지털리즘』범우사(2005,4,15)

9. 오남구 편『디지털리즘-1집』글나무(2003,3, 15)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883 미국 시인 - 빌리 콜린스 2016-11-28 0 4741
1882 詩는 언어로 남과 더불어 사는 정서를 절규하는것... 2016-11-28 0 4058
1881 시인, 시, 그리고 미술... 2016-11-27 0 4228
1880 시인, 시, 그리고 경제... 2016-11-27 0 3661
1879 시인의 미국 시인 - 에즈라 파운드 2016-11-27 1 5497
1878 현대시를 이끈 시대의 대변인 영국시인 - T.S. 엘리엇 2016-11-27 0 5392
1877 "부부 시인"의 비극과 또 하나의 그림자 2016-11-26 1 5693
1876 미국 시인 - 실비아 플라스 2016-11-26 0 5223
1875 독일 시인 - 롤프 디터 브링크만 2016-11-26 0 4231
1874 권총으로 자살한 구쏘련 시인 - 마야꼬프스끼 2016-11-26 0 4404
1873 20세기 러시아 최대 서정시인 - 안나 아흐마또바 2016-11-26 0 3724
1872 20세기 러시아 최대의 시인 - 오시쁘 만젤쉬땀 2016-11-26 1 3923
1871 상상하라, 당신의 심원한 일부와 함께 비상하라... 2016-11-26 0 3382
1870 세계문학상에서 가장 짧은 형태의 시 - "하이쿠" 2016-11-26 0 4220
1869 詩의 탄생 = 人의 출생 2016-11-26 0 3529
1868 실험적 詩는 아직도 어둠의 아방궁전에서 자라고 있다... 2016-11-26 0 4108
1867 詩가 무엇이길래 예전에도 지금도 실험에 또 실험이냐... 2016-11-26 0 4621
1866 詩는 독자들에게 읽는 즐거움을 주어야... 2016-11-26 0 3442
1865 詩를 더불어 사는 삶쪽에 력점을 두고 써라... 2016-11-26 0 3807
1864 詩人은 명확하고 힘있게 말하는 사람... 2016-11-26 0 3675
1863 詩를 발랄한 유머와 역설의 언어로 재미있게 읽히는 시로 써라... 2016-11-26 0 4045
1862 캐나다계 미국 시인 - 마크 스트랜드 2016-11-22 0 5278
1861 미국 시인 - 시어도어 로스케 2016-11-22 1 6522
1860 러시아계 미국 시인 - 조지프 브로드스키 2016-11-22 0 4649
1859 詩란 마음 비우기로 언어 세우기이다... 2016-11-22 0 3947
1858 자연속의 삶을 노래한 미국 시인 - 로버트 프로스트 2016-11-21 0 6684
1857 풍자시란 삶의 그라프를 조각하여 통쾌함을 나타내는 시... 2016-11-21 0 3848
1856 미국 재즈 시의 초기 혁신자 中 시인 - 랭스턴 휴스 2016-11-20 0 5207
1855 락서는 詩作의 始初에도 못미치는 망동... 2016-11-19 0 3638
1854 인기나 명성에 연연해하지 않고 자신의 색갈을 고집한 예술가 2016-11-18 0 5288
1853 카나다 음유시인 - 레너드 노먼 코언 2016-11-18 0 5213
1852 령혼 + 동료 = ...삶의 그라프 2016-11-18 0 3540
1851 김영건 / 박춘월 2016-11-18 0 3443
1850 詩作의 첫번째 비결은 껄끄러움을 느끼지 않게 쓰는것... 2016-11-18 0 3997
1849 詩作할때 "수사법" 자알 잘 리용할줄 알아야... 2016-11-16 1 4839
1848 詩人은 "꽃말"의 상징성을 발견할줄 알아야... 2016-11-15 0 3710
1847 진정한 "시혁명"은 거대한 사조의 동력이 안받침되여야... 2016-11-15 0 3567
1846 고 김정호 / 허동식 2016-11-15 0 3665
1845 윤청남 / 허동식 2016-11-15 0 3667
1844 詩를 제발 오독(誤讀)하지 말자... 2016-11-15 0 3865
‹처음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