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世界 색점선

피카소의 도자기 그림
2015년 02월 15일 17시 45분  조회:2683  추천:0  작성자: 죽림
 

 

 피카소의 도자기 그림 
 


피카소(1881 - 1973)가 생전에 남긴 작품 수는 5만 점 정도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유화가 1885점이고 복제가 가능한 판화. 조각. 도자기의 작품 수가 많습니다
그중 도자기 그림(도자 그림)은 약 2280점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한 도자기에 에디션이 50점 부터 500 점 짜리 까지 있으니

대략 400 점 정도의 원판 도자기 그림을 남겼다고 할 수 있습니다

 

  

PABLO PICASSO 1881-1973 높이 250 mm 에디션 85/200 1958
 
 
피카소의 도자기 그림은 우리나라에서도 전시회를 한적이 있습니다

 

 

2003년 9월부터 10월말까지 60일간 열린 제2회 경기도 여주

 

 

세계도자비엔날레에서 피카소 도자기  별전을 열어
70여점의 작품이소개됐습니다
그때 많은 관람객들은 피카소가 도자기 위에 

 

그림을 그렸다는 사실에 놀라움을 나타냈고
도자기 위에그려진 수준 높은 그림에 감탄했습니다


 

 
30 by 22.5cm  에디션 495/500  1968


  높이 21.5cm  에디션 12/300  1952
 
 
서양의 화가 중에서 도자기에 그림을 그린 화가는 피카소뿐이 아닙니다

 

 

샤갈과 호안 미로 등 여러 화가들이 도자기 그림을 남겼습니다  

 

 

도자기라는 또 하나의 예술형태에다 그림을 그림으로써 보다

 

 

넓은 예술세계를 만들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따지고 보면 고대시대부터 동서양에서는 도자기를 만들고

 

 

시대의 변천에 따라 그 위에 무늬나 문양을 새겼습니다

 

 

그러나 서양에서는 그후 오랫동안 도자기에 대해 소홀했고

 

 

동양에서는 도자기를 생활화 시키면서 그 위에 그림도 그리고 
도자기 색도 변형시켰습니다! 

그런데 유럽과 동양 사이에 해상무역이 활발해지면서 중국과

 

 

일본의 도자기가 대량으로 건너갔고 유럽 귀족사회에서는 

 

동양 도자기 수집 열풍이 불었습니다
아울러 도자기 제작에 대한 관심도 늘어나
공장들이 활발하게 가동되기 시작했고 

 

훗날 일부 근현대화가들이 자국에서 생산되는 도자기
 

 

위에 그림을 그렸는데 피카소도 그중의 한명입니다   

 
지름 385 mm 에디션 127/200  1947
 

 

피카소가 도자기에 그림을 시작한 것은 1947년 여름이고

위의 작품이 첫번째 작품입니다 그가 도자기 그림 작업을 한곳은

프랑스의 도자기 도시인 발로리(vallauris)인데

당시 그는 평화 운동(peace movement)에 참가하면서

한국전쟁이 일어나자 발로리 성당에

<전쟁과 평화>라는 대형 벽화를 그렸습니다

피카소는 자신의 조국 스페인에서 발생한 내전때문에 조국에 등을 정도로

평화에 대한 신념이 투철했기에 한국전쟁에서 벌어지는 살상에

깊은 관심을 보이면서 "한국의 평화를 특별히 염원한다"는

말을 남기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그는 <전쟁과 평화> 벽화 중

평화 부분에 한국을 상징하는 태극문양을 그렸고

그 당시 <한국에서의 학살>을 유화로 그렸습니다

 

 지름 18.5cm  에디션 500  1956
 
 
피카소는 발로리로 온 이후 25년동안 도자기 그림에 열중했습니다  
따라서 그는 말년의 예술혼을 도자기 그림에 쏟아 부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고 그래서 그의 도자기 그림에는 좋은 작품이 많습니다

그가 이렇게 성공적으로 그리고 오랫동안 도자기 그림 작업에
열중할 수 있었던  
또 하나의 이유는 마지막 연인이자 생의 마지막 동반자인
쟈클린 로끄(위의 그림)의 헌신적인 뒷바라지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쟈클린 로끄는 피카소 보다 40년 연하인데
발로리에 있는 도자기 공장 관리인의 조카로서 공장의 뒷일을 돌보는
젊은 이혼녀였습니다. 그런데 그녀는 피카소에게는 자신과 같은
여인의 헌신적 뒷바라지가 필요하다며 적극적으로 매달렸고
피카소가 80살이 되던 1961년에 결혼신고를 했습니다
 
그리고는 그가 좋은 작품을 남길 수 있도록 내조를 했고
피카소는 그런 그녀의 모습을 위의
 작품을 비롯해 여러 점을 그렸습니다  

 
 
지름 42cm  에디션 25/50  1959
 
 
피카소는 투우의 나라인 스페인의 말라가라는 도시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아버지가 미술교사였으니 그의 그림 재주는
내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피카소가 어린 아이때 부터 소질을 보이자
그의 아버지는 그가 14살 때   
문화의 도시인 바르셀로나의 론잔 미술학교에 입학시켰습니다
 
그리고 그는 아버지의 기대에 부응하듯 스페인의 거의
모든 미술대회에서 두각을 나타냈습니다  

스페인은 그가 태어나고 자란 조국일 뿐 아니라
19살 때인 1900년에 바르셀로나에서 화가로서의 첫 전시회를 
열었기 때문입니다
물론 번듯한 화랑에서 전시회를 연것이 아니라
바르셀로나 뒷골목에 있는 선술집에서 150점의 스케치를 전시한 것이지만 
그는 그렇게 전시히를 하고 정식으로 데뷔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천재적 재능을 가진 그에게 바르셀로나는 너무 좁았습니다
그래서 그는 전시회를 끝낸 후 유럽화단을 쥐락펴락하는 화가들이 
모여있는 프랑스의 몽마르트로 가서 그곳 빈민촌에서
폴 고갱. 고흐. 드가등과 어울리며 그의 청년기를 시작합니다  
 
  

  지름 253 mm  에디션 455/500  1963


파리에 도착한 피카소는 프랑스어도 못해 고생을 많이 하면서 방황을 했지만
몇년이 지나 화가로서 이름을 얻은 그는 왕성한 창작력과 함께 
화려한 여성 편력의 여정을 시작합니다

그래서 그의 그림에는 수많은 여자들이 등장하고
여자가 바뀔 때 마다 그림의 화풍이 달라진다는
말을 들을 정도로 여자와 그림에 열정을 쏟아부었습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은 그의 예술적 영감은 그 여인들과의 
열정에서 얻어진 것인지도 모른다고 말합니다
 
  

   높이 22cm  에디션    261/300!   1959


피카소는 생전에 7명의 여인과 결혼을 하거나 동거를 했습니다
물론 중단중간에 잠시 사위었던 여자들의 수는
셀 수 없을 정도였습니다
그의 첫번째 연인은 페르낭드 올리비에라는 여인으로
피카소와 같은 나이였습니다 
스무살 때 만나 사랑을 했는데 그녀는 야성형 여인으로 
피카소는 이 시기에 그 유명한 <아비뇽의 처녀들>을 그렸습니다

<아비뇽의 처녀들>은 현대미술에서 입체파의 출현을 알리는 작품으로
 
그때까지의 그림이 평면적 관점에서 그린 작품이라면 이 작품은 
기하학적인 입체감을 표현한 새로운 표현방식이라
당시의 많은 화가들과 평론가들에게 큰 충격을 안겨줬습니다  

그는 첫번째 연인인 페르낭드를 위해
1908년에 <부채를 든 여인>을 그렸습니다
 
 

  
 높이 31.5cm  에디션 500  1955 



피카소의 두번째 연인은 에바 구엘이라는 여인이었습니다
그녀는 '청순가련형' 여인으로 피카소가 매우 정열적으로 사랑을 했습니다
 
1912년 피카소는 에바를 위하여 <옷을 벗은 에바>를 그렸는데
그녀가 병이 나자 그는 잠시 다른 여인을 사귀어
'여자가 곁에 없으면 못 산다'는 말을 들을 정도로
심하게 여자에게 집착을 했습니다
 
 

 
높이  735 mm  에디션 29/75  1951


피카소의 세번째 연인은 발레를 하는 올가 코홀로바라는 여인이었습니다  
러시아 출신으로 당시 25살이었던 그녀는 귀족적 풍류를 즐겼고
피카소는 그녀를 따라 파리의 상류사회에 얼굴을 내밀기 시작했습니다
 
그 결과 그는 당시 그와 그의 친구들과 함께 추구하던 입체파 풍의
그림을 버리고 상류사회 사실주의풍의 그림을 그리기 시작해
친구들에게 배반자라는 비난을 받았습니다

피카소는 1917년 다른 연인들에게도 그랬듯이 그녀를 모델로 해서
<안락의자에 앉은 올가>를 그렸습니다
 그리고는 그녀를 떠났습니다  
 

 
 
SERVICE VISAGE NOIR>  지름  24.5cm  에디션 100  1948
 
 
네번째 연인 마리 테레즈는 천진난만형 여자로 
피카소가 초현실주의에 영향을 받을 때 만났고 
당시 그녀의 나이는 열입곱이었습니다
 
피카소는 그의 연인들 중 그녀를 가장 많이 그렸는데
1930년에 그린 <꿈>과 1939년의 
 <팔꿈치를 기댄 마리 테레즈>가 대표적 작품입니다 

피카소는 그녀와의 사이에서 딸을 한명 낳았지만
그녀가 너무 천진난만해 품위가 없다는 이유로 훌쩍 떠났습니다
 

 36.5 by 18.5cm  에디션 66/100  1955
 
 
다섯번째 연인 도라 마르는 지성형 여인으로 피카소가 파시즘과 
투쟁할 때 만난 여인입니다
그녀는 1937년 피카소의 대표작으로 불리는 
<게르니카>를 그리는데 많은 영감을 준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게르니카>는 히틀러가 스페인의 프랑코 총통을 돕기 위해
바스크라는 작은 마을을 융단폭격해 7천명의 주민 중 1천명을
무자비하게 죽인 사건을 형상화한 작품으로
독재와 전쟁의 참혹함을 알리는 대표작입니다

피카소는 이 작품을 당시 연인이던 도라의 도움을 받으며
한달만에 완성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얼마후 또 다른 여인을 만나 그녀에게서 떠났고 
 
그녀는 그 충격으로 정신착란에 이르렀습니다

 
 375 by 310 mm  에디션 400  1953
 
 
위의 그림은 피카소의 여섯번째 연인 프랑스와 질로인데  
그녀는 피카소의 연인들 중 유일하게 피카소를 버린 여인입니다

그녀는 스물 한살 때인 1941년 피카소를 만났는데
 
법학대학을 나왔지만 당시 프랑스가 독일에 점령당했을 때라 
법학을 포기하고 미술 석사 과정을 받고 있었습니다
 
집안이 부유했고 그녀의 부모는 딸에 대한 기대가 컸기에 
피카소와의 연애를 심하게 반대했지만 
그녀는 1944년! 집을 나와 63세의 피카소와 동거를 시작합니다  
그런데 피카소가 그녀의 친구와 바람을 피자
그녀는 피카소에게 결별을 선언합니다
 
피카소는 자신을 버리고 떠나는 여인이 있을 수도 있다는 
사실에 놀라고 당황하여 네가 떠나면 나는 자살을 하겠다고 
협박을 하지만 그녀는 그것이 바로 당신을 행복하게 하는 방법이라는 
유명한 말을 남기고 떠납니다
 
그리고 피카소와의 사이에서 난 자식들을 피카소 호적에 입적시켜
그가 사망한 후 많은 유산을 상속받게 했습니다
그렇게 그를 떠났는데도 피카소는 그녀를 잊지 못하고 훗날까지
그녀의 모습을 그렸으니, 이것이 피카소의 인간적인 모습인지도 모릅니다
 


 
 지름  35.5cm  에디션 72/100  1962

 
위 그림의 여인은 피카소의 마지막 연인이자 부인인 쟈클린 로끄로
그의 남은 여생을 행복하고 편하게 해준 헌신적인 여인입니다
그리고 피카소로부터 버림도 받지 않았으니
그가 만난 여인 중 가장 행복한 여인이었습니다

피카소가 80세 때인 1961년에 젊디 젊은 쟈클린과 결혼신고를 하자
세상 사람들은 다시 한번 그의 화려한 여성편력에 대해 
놀라움을 금치 못했고 세계 각국의 언론에서는 앞을 다퉈 보도했습니다

그러나 그녀는 이런 세상의 눈길을 아랑곳 하지 않고
도자기 공장에서 일했던 경험을 잘 살려서 피카소가
도자기 그림에 심취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줬습니다
 
그래서 피카소는 말년에 예술적 완성도가 
높은 도자기 그림을 많이 남길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피카소의 말년을 함께한 쟈클린은
그가 세상을 떠난 후 자신에게 남겨져있던 상당수의 
도자기 그림들을 피카소가 첫 전시회를 열었던 바르셀로나에 있는 
피카소 박물관에 기증해서 헌신적인
남편 사랑을 다시 한번 세상에 보여줬습니다  


 
 
지름 45 cm 에디션 16/200  1957
 
피카소는 이렇게 자신의 예술혼을 활짝 펼치며 세상을 품었습니 
데상에서 시작해서 유화.조각.판화.도자기그림 등 모든 미술의 
영역을 자유롭게 넘나들며 원없이 예술혼을 불태웠습니다
 
그리고 1973년 4월 8일 92세의 나이에 하늘을 향해 날았습니다    
뱀의 다리  현재 피카소의 도자기 그림 가격은 한점당 
5천 ~ 8천 달라 정도 합니다

 

 

[출처] 피카소의 도자기 그림 |작성자 수위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53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493 [쉼터] - "아프리카 모나리자" 2018-03-25 0 2293
492 머리카락으로 3D 그림을 그리는 중국 청년 2018-03-07 0 3115
491 머리카락으로 그림을 그리는 화백 2018-03-07 0 3982
490 오스트리아 황금빛 화가 - 구스타프 클림트 2018-03-07 0 4010
489 벨기에 철학자 초현실주의 화가 - 르네 마그리트 2018-03-07 0 9980
488 루마니아 초현실주의 사진작가 - 카라스 이오누트 2018-03-07 0 3790
487 미국 초현실주의 사진작가 - 메기 테일러 2018-03-07 0 2861
486 [그것이 알고싶다] - 淸明上河圖 감상하기 2 ... 2018-03-06 0 3062
485 [쉼터] - 중국 회화 력사상 가장 유명한 작품 중 1급 국보 2018-03-05 0 3088
484 [그것이 알고싶다] - 淸明上河圖 감상하기... 2018-03-05 0 2984
48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재두루미야, 맘껏 날아라... 2018-03-05 0 2038
482 [쉼터] - 우주를 나는 사람들... 2018-03-04 0 2089
481 [그것이 알고싶다] - 그림은 복합적인 이미지로 그려야... 2018-02-25 0 2248
480 이색적인 그림화가와 이색적인 가수화가 2018-02-25 0 2347
479 스페인 화가 - 에드가 드가 2018-02-25 0 9291
478 [쉼터] - 봄물은 흐르고... 2018-02-22 0 2024
477 [쉼터] - 까치야, 나와 놀쟈... 2018-02-22 0 2001
476 [그것이 알고싶다] - 동양화 화법 "홍운탁월"법?... 2018-02-21 0 2006
475 [쉼터] - 사진으로 보는 자연세계... 2018-02-20 0 1908
47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봄이 오기는 오는 모양이라카이... 2018-02-08 0 2179
473 [동네방네] - 앉아서 세계려행 하다... 2018-02-07 0 1347
472 {이런저런} - 사진은 강력한 무기 2018-02-03 0 1612
471 [쉼터] - 사진아, 나도 어디 한번 찍어나보쟈... 2018-02-02 0 2015
470 중국 조선족 민속화가 - 림룡순 2018-01-28 0 2313
469 [이런저런] - 세계 기네스기록 = "눈밭 그림" 2018-01-27 0 2071
468 [이런저런] - 얼마나 추울가?... 꽁꽁 언 상어에게 물어보라... 2018-01-24 0 2207
467 [이런저런] - 100년전 반고흐 그림 해빛 보다... 2018-01-20 0 1450
466 [쉼터] = 50여년 사진기와 씨름한 사진작가 - 신승우 2018-01-09 0 1433
465 [이런저런] - 수자를 아는 머리카락... 2018-01-09 0 1281
464 [그것이 알고싶다] - 중국 국보급 10대 고전 名畵... 2017-12-26 0 4551
463 [쉼터] - "1억 달러 화랑 클럽"에 합류한 중국 예술가 - 齊白石 2017-12-21 0 2087
462 [이런저런] - "요지경세상", "세상요지경"... 2017-12-19 0 2073
461 [쉼터] - 54명의 집단 초상화 2017-12-17 0 1961
460 화가 반고흐도 그림 표절 혐의가 있다고?... 2017-12-17 0 2176
459 [동네방네] - " 'no'라고 말하는 녀인" 2017-12-13 0 1778
458 이미 타계한 화가들은 말이 없다... 2017-12-09 0 1489
457 [쉼터] - 동화세계 = 목단강 놀러 오이소... 2017-12-08 0 1405
456 [화단소사전] - "추상화"란?... 2017-11-20 0 2353
455 4대 불운이 겹친 화가,- "안녕, 내가 사랑했던 모든것들이여"... 2017-11-20 0 4489
454 남의것을 빌어 어떻게 나의것으로 만들고 남과 달라야 산다... 2017-11-20 0 3834
‹처음  이전 1 2 3 4 5 6 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