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한국 경북매일 기사
2015년 02월 02일 13시 58분  조회:4761  추천:0  작성자: 죽림




경북매일신문 '금쪽같은 내새끼들' 낳은 정 못지않은 암탉의 모정

 



[경북매일신문 2012.6.13 보도]

직접 품어 부화시킨 꺼병이들 지극정성 돌봐

 

 

▲김승종씨가 자신이 기르던 암탉으로 부화시킨 야생 꺼병이들

을 돌보며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닭이 알을 품으면 병아리가 된다그러면 꿩이 알을 품어 부화시킨 새끼를 뭐라고 부를까국어사전에는 꿩의 어린 새끼를 `꺼병이라고 하고 있다꺼병이는 암수구분이 안되는데다 모양이 거칠고 못생긴 탓에,흔히들 사람의 생김새에도 꿩 새끼에 빗대어 꺼병이혹은 꺼벙이, `꺼벙하다`고 부르기도 한다.

 

안동의 한 양계장에서 야생의 꿩알을 품은 뒤 태어난 꿩 새끼를 자신의 새끼인양 정성껏 돌보는 꺼벙한(?) 암탉이 있어 화제다이 암탉을 어미인 줄 알고 마냥 졸졸 따라 다니는 `꺼벙한 꿩 새끼`들 또한 그 자체가 흥밋거리다.

 

안동 일직면 김승종 시인주운 꿩알 암탉둥지로

별도거처까지 마련… 자라면 야생으로 보낼 것

 

안동시 일직면에 사는 김승종(50·시인)그는 지난달 초 인근 야산 경사진 곳에서 이리저리 흩어진 연갈색의 꿩알 10개를 주웠다비 때문에 알들이 토사에 떠내려 왔는지근처에 알을 보호할 둥지도 없었다.

 

메추리알 보다 크고 달걀 보다 작은 꿩알이대로 두면 자연 상태에서 부화되지 못한다는 것을 직감한 김씨는 고민 끝에 꿩알을 자신이 기르던 닭에 품게해 부화시키기로 했다.

 

 

▲부화된 지 5일째 된 꺼병이들.

 

 

김씨의 거사(?)에 간택된 닭은 집에서 기르던 10여 마리 암탉 가운데 몸 전체가 하얀색인 실키오골계란 종이었다김씨는 비교적 유순한 이 암탉이 한 눈 파는 사이 이미 둥지에 품고 있던 달걀을 슬그머니 빼내고 꿩알을 대신 채워 넣었다.

 

이 암탉이 정성껏 품은 지 21일째 되던 지난달 31드디어 병아리 아닌 꺼병이가 부화됐다그것도 10개의 꿩알 가운데 7개나 부화에 성공했다.

 

그런데 병아리 색깔이 이상한 탓인지 태어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기존 닭 무리들이 꺼벙이들을 막 쪼기 시작했다.

 

때문에 김씨는 어미닭과 꺼병이들을 모두 피신시킬 별도의 거처를 마련했다고양이나 들짐승 습격도 막을 겸 촘촘한 울타리도 쳤다.

 

삐삐삐약삐삐삐약.” 울음소리가 병아리 소리와 흡사한 7마리의 꺼병이들이 닭장 안에서 어미닭을 졸졸 따라 다니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태어난 지 5일 째인 꺼병이들은 몸 전체 연갈색 보호색에 볏이 없고 야생 꺼병이처럼 엷은 줄무늬를 가졌다그래도 요놈들은 야생성이 강해 풀이 난 바닥에 좁쌀 등의 먹이를 줘야 그나마 먹는다어미닭은 자신이 품어 부화한 꺼병이들에게 벌레를 잡아 주기도 하고날개에 품기도 하는 등 자기 새끼인양 모든 것에 지극정성이다.

 

김승종씨는 이런저런 연유로 야생 꿩알을 부화시키기는 했지만 앞으로 자라면 자랄수록 생김새가 점점 차별화돼 결국 기존 닭 무리들과 어울리지 못하는 `미운 오리 새끼`가 될지도 모르겠어요적당히 자라면 야생으로 돌려보낼 생각입니다” 고 말했다.

 

<경북매일신문> 안동 권광순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3077 [그것이 알고싶다] - 중국 영화 황제 김염과 제주도 2021-05-08 0 2569
3076 [별의별] - 국경과 농부 2021-05-07 0 2809
3075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고구마혁명", 남의 일이 아니다. 2021-04-28 0 2698
307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문화유산모으기", 남의 일이 아니다. 2021-04-28 0 2959
3073 [그것이 알고싶다] - 오스카상... 2021-04-27 0 2826
3072 [그것이 알고싶다] - 윤여정과 "선물가방" 2021-04-27 0 4639
3071 [그것이 알고싶다] - "팔도 김치" 2021-04-16 0 3125
3070 [고향소식] - 화룡 길지 "돌"로 뜨다... 2021-04-01 0 3452
306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바다환경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1-03-30 0 3006
3068 [그것이 알고싶다] - 수에즈 운하 2021-03-30 0 3660
3067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치마 시위" 2021-03-30 0 3282
306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다 잘 될거야"... 2021-03-30 0 3221
3065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차라리 날 쏴라"... 2021-03-30 0 2843
3064 [세상만사] - 눈사람과 환경미화원 2021-01-30 0 2719
306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폐의약품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1-01-28 0 2786
3062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철조망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1-01-28 0 3156
3061 "시는 그림자도 춤추게 하는 메아리" 2021-01-26 0 2868
3060 [세상만사] - 하면 된다... 2021-01-26 0 2825
3059 [그것이 알고싶다] - 색... 2021-01-21 0 2916
3058 [그것이 알고싶다] - 22... 계관시인... 2021-01-21 0 3124
3057 [그것이 알고싶다] - 그림자... 2021-01-21 0 3079
3056 [그것이 알고싶다] - 4... 8... 2021-01-19 0 2817
3055 [타산지석] - 본받을만한 훌륭한 아버지... 2021-01-17 0 2689
3054 [회초리] - 표절, 도용, 저작권, 량심... 2021-01-17 0 3239
3053 [그것이 알고싶다] - "김"씨냐, "금"씨냐... 2021-01-15 0 2922
3052 가장 진실되고 독창적인 목소리를 내야... 2021-01-15 0 2733
3051 [그것이 알고싶다] - 돌잔치와 돌잡이 2021-01-14 0 4263
3050 [세상만사] - "아리랑과 외국인" 2021-01-14 0 2971
3049 [그것이 알고싶다] - 지방 쓰는 법, 명정 쓰는 법 2021-01-11 0 4422
3048 [세상만사] - "꽁꽁" 2021-01-11 0 2664
3047 [세상만사] - "영화와 경계선" 2021-01-09 0 3033
3046 [세상만사] - "기부자와 기부금" 2021-01-08 0 2791
3045 [그것이 알고싶다] - "민주와 민주" 2021-01-07 0 3027
304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백두산 호랑이 "두만"이... 2020-12-29 0 3439
304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백두범"아, 어서 어서 돌아오라... 2020-12-26 0 3876
3042 [세상만사] - "지문" 있다?... 없다!... 2020-12-26 0 3516
3041 [록색문학평화주의者]-백두산 호랑이 = "두만"아, 잘 가거라... 2020-12-20 0 3076
3040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비닐쓰레기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12-20 0 3115
3039 [세상만사] - "유산 싸움과 월드컵 축구경기..." 2020-12-18 0 2857
3038 [세상만사] - "연등 = 인류무형유산" 2020-12-16 0 3155
‹처음  이전 1 2 3 4 5 6 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