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중국조선족시인 홍영빈 篇
2024년 08월 29일 02시 58분  조회:589  추천:0  작성자: 죽림
 홍영빈과 시집 “바람 가는 길”/장학규


1939년 흑룡강성 통하현에서 태여난 홍영빈은 병약한 신체와 가난한 살림때문에 소학교도 졸업하지 못했지만 굳은 의지와 이악스런 노력으로 1973년에 처녀작 “봄은 어디에”로 등단, 현재까지 시집 2권과 300여 수의 시를 발표했다. 
“바람 가는 길”은 1장 “나를 찾아서”, 2장 “세상과 세월”, 3장 “바람과 나무와 별과 시”, 4장 “생명예찬” 등 총 4장으로 나뉘여졌다.
홍영빈의 시는 시골집 무쇠솥에 우려낸 구수한 숭늉같다고 하는 편이 어울릴것 같다. 현란한 언어가 없지만 가슴을 따스하게 하는 솔직한 표현과 알송달송한 몽롱미가 없어도 마음까지 편한 시어의 선택은 홍영빈만의 창작풍격이다. 
막차 //밤 아홉시 정각 /나는 집에 가려고 막차에 올랐다/ 네온등 꽃 수놓아 협곡을 달리는/ 막차에 앉아서 해보는 자문 / 이제 훗날 그 어느 역에서/ 마음 놓고 안식처에 내려야 할 / 막차를 탈 승차권은 / 마련 되었는지?
시에서의 막차는 마지막 뻐스가 아닌 시인이 살아온 전반 인생에 대한 회고의 시간인것 같다. “막차”를 보면  시인 자신이 보인다. 
자맥질 // 물속 자맥질로 먹이 사냥하는 물새가 / 물의 깊이를 다는 모르고 살 듯 / 하늘을 자맥질하며 노니는 날새도 / 하늘의 높이를 다는 알지 못하지만 / 새들은 저마다 즐거운 삶을 사는거다 /…
주어진것에 만족하고 주어진것을 누리는 삶이 평온하고 아름다운 삶이라고 말하고 있다.
홍영빈 시인도 스스로를 날개를 펼줄 아는 한마리의 새라고 했다. 좋아하는것을 마음껏 할수 있는 자유를 가진 스스로가 날개를 펼줄 아는 새라는것은 홍시인의 만족스러운 삶을 말하는것이 아니겠는가?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83 김파 / 최룡관 2015-03-27 1 4338
282 아방가르드/ 시론 2015-03-27 0 4236
281 심상운 시와 기호 2015-03-23 0 4228
280 문덕수 현대시론 2015-03-23 0 4889
279 강경애 문학비 2015-03-23 0 4178
278 김창걸 문학비 2015-03-23 0 4577
277 초현실주의와 앙드레 브르통 2015-03-21 0 5220
276 초현실주의 혁명 2015-03-21 0 4186
275 초현실주의 요약자료 2015-03-21 0 4613
274 첫수확 노래비 2015-03-18 0 4263
273 류연산 문학비 2015-03-18 0 5101
272 최룡관 시비 2015-03-18 0 4184
271 김문회, 리근영, 박화, 최룡관 시비 (화룡 선경대) 2015-03-18 0 4697
270 심련수 시비 2015-03-18 0 4201
269 김파 시비 2015-03-18 0 4909
268 정몽호 시비 2015-03-18 0 4217
267 김학철, 김사량 문학비 2015-03-18 0 5431
266 김학철 문학비 (도문 장안 룡가미원) 2015-03-18 0 4765
265 조룡남 시비 2015-03-18 0 4642
264 최문섭 시비 2015-03-18 0 4309
263 김례삼 시비 2015-03-18 0 4767
262 채택룡 시비 2015-03-18 0 4181
261 윤정석 시비 2015-03-18 0 4911
260 동시인 - 강려 2015-03-18 0 4474
259 정판룡 문학비 2015-03-18 0 4743
258 연변 문학비 순례 2015-03-18 0 4397
257 리태수 시비, 조룡남 시비 (룡정 일송정 내) 2015-03-17 0 4942
256 선구자의 노래은? 2015-03-17 0 4482
255 윤동주 시비 ㄴ 2015-03-17 0 4114
254 윤동주 <서시>의 새로운 해석 2015-03-17 0 5251
253 윤동주 시비 2015-03-17 0 4274
252 김성휘 시비 2015-03-17 0 4522
251 詩碑의 是非 2015-03-17 0 4196
250 리욱 시비 2015-03-17 0 4754
249 시평 절록/ 김관웅 2015-03-15 1 5240
248 "시지기 - 죽림"의 詩와 관련하여ㅡ(김관웅 평론) 2015-03-15 1 4797
247 시인 - 최룡국 2015-03-15 0 4603
246 시인 - 리련화 2015-03-15 0 4580
245 시조시인 - 최혜숙 2015-03-15 0 4692
244 시인 - 박룡철 2015-03-15 0 4355
‹처음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