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중국조선족 시인 리상각 篇
2024년 08월 24일 01시 24분  조회:814  추천:0  작성자: 죽림
리상각시인의 시 <두루미>에 대한 나름의 시평

                                       허동식
    


리상각시인의 <두루미>가 최초에 시로 씌여졌는지 아니면 가사로 씌여졌는지는 잘 모르지만은 내가 흥이 날 때는 부르고싶은 노래이다. 또 아름다운 시로 느껴지는 시편이다.  <두루미>에서 한  구절을 따오면서 나름의 감상을 적어본다.  
백설같은 두루미 하얀 두루미
떼를 지어 내려앉네
깃을 다듬네
 
두루미는 알지 못하네
그 모습이 그 얼마나 아름다운지

1      백설같은 두루미 하얀 두루미/떼를 지어 내려앉네 /깃을 다듬네  이 부분은
거의 질박할 정도의 시어로  <두루미>를 묘사형으로 구성된 서술형 그림으로 그려놓았다. 서술형 그림이란 말이 존재하는지는 잘 모르지만 련환화라든가 환등으로 표현되는 그림을 서술형 그림이라 칭할수 있다면, 하늘에 날아예는 하얀 두루미들--하나 둘 또는 일거에 백사장에 내려앉는 두루미들--부리로 깃을 다듬는 두루미들 이런 순서로 두루미가 형상화되였고 그림화되였다.  

2   백설같은 두루미 하얀 두루미/떼를 지어 내려앉네 /깃을 다듬네
이상 순서적인 그림화된 이 부분은 또 두루미의 動性을 靜성적으로 옮기어 적은 부분이다. 두루미의 동적인 이동과정과 행위과정을 하나하나 구분하여 그 순서대로 정적으로 다루었다. 정적으로 다루었지만 정속에는 동이 흐르고 그 와중에 동과 정이 잘도 조화된 생명감(어떤 생명도 자연적으로는 동과 정의 연합체이다)이 넘치는 부분이다.

3      두루미는 알지 못하네/ 그 모습이 그 얼마나 아름다운지
이 부분은 옛날 중학교 어문교과서에서 말하는 소위 주제사상개괄이라 할수도 있겟지만은 나는 두루미의 내심적인 안온과 靜性을 동적(심리활동)표현으로 마무리지었다 함이 더 적절하다고 생각된다.  물론 문자언어의 제한성으로(조선문은 표음문자로서 중구어처럼 一字로  天機를 다루기가 힘듬도 사실이다) 蜻蜓点水식 또는 완전은페식 경지는 찾아보기 힘들지만  나는 표상으로 보여지는 두루미의 靜성에 내재하는 동적원동력을 잘 표현한 시구라고 생각된다.

4  시인의 원초의 의도는 잘 모르지만 , 독자로서 나는 <두루미>는 조선족의 심미리상과 사회리상이 조화스럽게 기록된  시편이라 생각된다.
 조선족이 먼 옛날부터 두루미를 즐김은 흰색으로 표현되는 人性의 순진성과 고요하게 표현되는 삶의 우아함을 지향함이 전통으로 되여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 이런 문화전통에는 유학의 심미리상과 사회리상이 내재한다. < 두루미>에 나타나는 흰빛의 고요한 韻과  그림으로 펼쳐지는 舞는 우리의 재래적 심미리상의 절창이며 <떼를 지어>는 자연스럽고 화목하고 조화된 사회리상의 시적재현으로 보여진다.

5  또  <그 모습이 그 얼마나 아름다운지>에는 자민족에 대한 자평과 무조건적인 무한대의 민족애 그리고 긍지감이 많이도 담기여 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643 아버지를 좀 안아 드려야 할것같은 가을이다... 2016-10-12 0 3928
1642 굴레가 되고 싶지 않다... 2016-10-10 0 4396
1641 김수영 시인을 다시 떠올리면서... 2016-10-10 0 4740
1640 풀의 시인 김수영 非발표작 詩 공개되다... 2016-10-10 0 4513
1639 저항시인 이육사 미발표 詩 발굴되다... 2016-10-10 0 4990
1638 윤동주 미발표작 詩 발굴되다... 2016-10-10 0 3627
1637 "윤동주 미발표 詩 더 있다" 2016-10-10 0 4551
1636 詩란 사모곡(思母曲)이다... 2016-10-10 0 3952
1635 詩는 리태백과 두보와 같다...처..ㄹ... 썩... 2016-10-09 0 4151
1634 詩는 무지개의 빛갈과 같다... 아니 같다... 2016-10-09 0 4138
1633 현대시사상 가장 다양한 시형의 개척자 - 김수영 2016-10-06 0 4820
1632 詩란 무구(無垢)한 존재이며 무구한 국가이다... 2016-10-06 0 4516
1631 詩는 추상의 반죽 덩어리... 2016-10-06 0 4204
1630 詩는 시골이다... 2016-10-03 0 3979
1629 詩란 주사위 던지기와 같다... 2016-10-02 0 4007
1628 詩란 100년의 앞을 보는 망원경이다... 2016-10-01 0 4198
1627 詩는 가장 거대한 백일몽 2016-10-01 0 4351
1626 詩人은 존재하지 않는 詩의 마을의 촌장 2016-10-01 0 4480
1625 詩人은 오늘도 詩作을 위해 뻐꾹새처럼 울고지고... 2016-10-01 0 4580
1624 詩作에서 구어체 편지형식을 리용할수도 있다... 2016-10-01 0 4479
1623 詩人은 약초 캐는 감약초군이다... 2016-10-01 0 4612
1622 詩人는 언어란 감옥의 감옥장이다... 2016-10-01 0 4473
1621 詩人은 추상화와 결혼해야... 2016-10-01 0 4661
1620 詩란 섬과 섬을 잇어놓는 섶징검다리이다... 2016-10-01 0 4201
1619 詩란 돌과 물과 바람들의 침묵을 읽는것... 2016-10-01 0 4304
1618 詩란 사라진 시간을 찾아 떠나는 려행객이다... 2016-10-01 0 4630
1617 詩作란 황새의 외다리서기이다... 2016-10-01 0 5277
1616 詩란 한잔 2루피 찻집의 호롱불이다... 2016-10-01 0 4282
1615 詩란 사라진 길을 찾는 광란이다.... 2016-10-01 0 4766
1614 詩는 한해살이풀씨를 퍼뜨리듯 질퍽해야... 2016-10-01 0 4412
1613 나는 다른 시인이 될수 없다... 2016-10-01 0 5417
1612 詩는 국밥집 할매의 맛있는 롱담짓거리이다... 2016-10-01 0 4193
1611 詩란 심야를 지키는 민간인이다... 2016-10-01 0 4614
1610 詩는 한매의 아름다운 수묵화 2016-10-01 0 4816
1609 詩는 신비한 혼혈아이다... 2016-10-01 0 4760
1608 詩作에는 그 어떠한 격식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2016-10-01 0 4451
1607 詩는 길위에서 길찾기... 2016-10-01 0 4592
1606 詩에는 정착역이란 없다... 2016-10-01 0 4565
1605 詩와 윤동주 <<서시>> 2016-10-01 0 4546
1604 詩는 리별의 노래 2016-10-01 0 4093
‹처음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