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중국조선족 시인 김성우 篇
2024년 08월 23일 05시 58분  조회:1051  추천:0  작성자: 죽림
《시경》과 술문화/ 김성우
2022년 02월 23일 10시 18분   작성자: 문학닷컴
《시경》과 술문화

김성우
 
중국의 술문화 현상을 최초로 문학작품에 진실하게 묘사하고 반영한 것이 바로《시경(诗经)》이다. 
 
중국 고대사회에서 생활의 ‘백과전서’라고까지 불리는《시경》에는 풍부하고 다채로운 민속문화 내용이 담겨져있어 후세의 민속문화연구에 아주 귀중한 자료를 제시해주고 있다. 특히 술에 대한 시가 아주 많은데 술을 빚고 마시고 하는 옛사람들의 생활이 폭넓게 반영되여있다. 술을 언급한 시만도 50수가 넘는데 그중 한수만 맛 보기로 하자. 
 
안해가 멀리 떠난 남편을 그리워하는 내용으로 된 시〈권이(卷耳)〉는 도꼬마리 뜯는 녀인의 갖가지 상상을 통하여 남편에 대한 애틋한 그리움을 표현하면서 더해가는 시름을 술로써 풀려 한다. 
 
저기 가파른 바위산에 올라가려니 
내 말은 지쳐서 휘청거리네 
나도 잠간 청동술잔에 술을 따라서 
오래된 이 그리움 잊어나 볼가 
(陟彼崔嵬,我马虺隤。
我姑酌彼金罍,维以不永怀。) 
 
저 가파른 산등성이에 올라가려니 
말이 지쳐서 털빛이 검누렇게 되였네 
내 잠간 소뿔잔에 술을 따라서 
오래된 이내 시름 달래나 볼가 
(陟彼高冈,我马玄黃。
我姑酌彼兕觥,维以不永伤)
 
간추린 통계에 의하면《시경》에 술 ‘주(酒)’자가 나오는 곳만 60여곳이 된다. 그중〈아(雅)〉에서만 50여곳이 된다. 시경에는 술의 뜻으로 씌여진 글자가 ‘주(酒)’뿐만 아니라 ‘례(醴)’, ‘고(酤)’ 등 여러 글자들이 있다. 이외 제사를 지내고 연회를 베풀고 하는 등 술과 관련된 내용만 해도 100여곳이나 된다. 그리고 제사에 쓰이는 술 기명들의 명칭도 수태 나온다.
 
 
중국 고전문학에서 시 300편으로 사실주의문학의 시조로 추앙받는《시경》이 이렇듯 술에 관한 내용을 많이 담고 있는 것은 고대사회에서 술의 중요성을 잘 말해주고 있다. 이 점에서 일부 학자들은 지어 “《시경》은 ‘주경(酒经)’이다.”라고도 말한다. 일찍 청조 때의 학자인 요제항(姚际恒) 은《시경통론》에서  “《시경》의〈빈풍 칠월(豳风ㆍ七月)〉은 마치 한권의 술에 관한 경전 같다.”고 말한바 있다. 
 
《시경》에서 술은 또한 ‘지주(旨酒)’, ‘청주(清酒)’, ‘시주 (酾酒)’ 등으로 감칠맛 있게 노래되고 있다. 
 
옛날, 가장 중요한 일은 전쟁과 제사였다. 술이 당시 제사 같은 아주 중요한 행사에 씌였던 점을 감안한다면 여기에서의 경로의 뜻은 한층 더 경건한 것이리라. 
 
술이 언제부터 만들어졌는가 하는 것은 확실한 정설이 없으나 동방에서 문자기재로 가장 일찍한 것은 갑골문의 표기인데 거기서 술은 ‘유(酉)’로, 즉 용기모양으로 새겨져있다. 그런데 갑골문의 대부분 내용은 제사와 점복이다. 그러니 사실상 술은 썩 더 이전에 있었다고 봐야 할 것이다. 술은 신의 음식으로 신과 통하는 매개로 작용하였기에 부족내에서 술을 관할하는 자 역시 그 신임과 지위가 대단하였다. 부족의 우두머리를 뜻하는 ‘추장’이라는 의미의 ‘추(酋)’ 자도 술(酒)과 련계되여있고 술을 관할하는 자는 ‘대추(大酋)’로 불리였다. 그러고 보면 ‘존경’의 높을 ‘존(尊)’도 술과 관계가 있은 것은 물론 높직하고 굵직한 행사에는 모두 술이 돌려졌던 것이다. 
 
 

 
옛날(은나라와 주나라 시기) 술은 전부 알곡 혹은 과일류로 빚어진 것이였다. 
 
《시경》에는 술이 제사에 쓰이는 대목이 많은데 제사외에도〈빈풍 칠월〉처럼 농가의 로인을 공양하는 장면에도 나오고 있다. 주나라에서도 음주가 성하였는데 이는 농업의 자급자족으로 알곡생산의 풍요로움과도 관계가 되며 특히 지금 말로 하면 산 사람을 위한 술의 양생학적 기능에 대한 연구가 발전한 것과도 관계된다고 할 수 있겠다. 그래서《시경》에는 술과 더불어 이제는 귀신을 즐겁게 하는 것외에도 산 사람의 수명을 축원하는 단어들도 나온다.
 
‘만수무강(万寿无疆)’이니 ‘수고만년(寿考万年)’ 같은 말들 모두가 술과 함께 《시경》에서 나온 말이다. 그런데 여기서 꼭 하나 짚고 넘어갈 것이 있으니〈빈풍 칠월〉의 ‘봄술’이 겨울에 빚어서 봄에 걸러 마시는, 한자로 ‘醪(료)’라고 하는 것으로 바로 우리말의 ‘막걸리’라는 것이다.

/<문화시대>계정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403 <새> 시모음 2015-04-17 0 4343
402 <개나리> 시모음 2015-04-17 0 4566
401 <봄맞이> 시모음 2015-04-16 0 4641
400 <풀꽃> 시모음 2015-04-16 0 4099
399 <아버지> 시모음 2015-04-16 2 4938
398 <채송화> 시모음 2015-04-16 0 4851
397 <나이테> 시모음 2015-04-16 0 4309
396 반칠환시인 시모음 2015-04-16 1 5711
395 <소나무> 시모음 2015-04-16 0 5259
394 시 낯설게 하기와 조향시인 2015-04-14 1 4719
393 조향시인을 그리며... 2015-04-14 0 4399
392 사랑의 계관시인 - 김남조 2015-04-14 0 5152
391 영국 잉글랜드 시인 - 엔드류 마블 2015-04-14 0 4746
390 왕당파 시인 / 형이상파 시인 2015-04-14 0 6396
389 형이상시의 고찰 2015-04-14 1 4964
388 사랑의 형이상적 시인 - 존던 2015-04-14 0 5459
387 영국 형이상학파 시인 - 존단 2015-04-14 0 5567
386 無韻詩 2015-04-14 0 4878
385 詩의 飜譯 2015-04-14 0 4955
384 <장미꽃> 시모음 2015-04-14 0 5206
383 멕시코 시인 - 옥타비오 파스 2015-04-13 1 5348
382 아르헨티나 시인 - 후안 헬만 2015-04-13 0 4693
381 혼다 히사시 시모음 2015-04-13 0 5362
380 詩의 病 2015-04-13 0 4302
379 <축구> 시모음 2015-04-13 0 6177
378 100세 할매 일본 시인 - 시바타 도요 2015-04-13 0 4917
377 로동자시인 - 박노해 2015-04-12 0 5178
376 박용래 시모음 2015-04-12 0 6229
375 <민들레> 시모음 2015-04-12 1 4637
374 <매화> 시모음 2015-04-12 0 6502
373 러시아 농민시인 - 이사코프스키 2015-04-12 0 5154
372 명시인 - 백석 2015-04-12 1 7024
371 <그릇> 시모음 2015-04-12 0 4648
370 <봉숭아> 시모음 2015-04-12 0 4828
369 <숟가락> 시모음 2015-04-12 0 4408
368 시인의 明과 暗 2015-04-12 0 4451
367 <진달래> 시모음 2015-04-12 1 4452
366 <국화> 시모음 2015-04-12 4 4856
365 <목련> 시모음 2015-04-12 0 5533
364 김지하 / 五賊 2015-04-10 0 4871
‹처음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